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4.3 제주 민주항쟁 63주년 - 반드시 재평가되어야 한다!!

728x90

이글은 일부 발췌+짜깁기가 되었음을 미리 밝힙니다...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 4.3 특별법 제2조 1항

1947년 3월 1일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하여, 경찰.서청의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선 단정 반대를 기치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 무장대가 무장봉기한 이래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지역이 전면 개방될때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장대와
토벌대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들이 희생당한사건을 말한다
-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중 일부


나역시 고등학교때까지 교과서에 언급되어진적 없는 사건을 대학에 가서 처음 접하게 되었다.
"잠들지 않는 남도"라는 민중가요로 처음 접하고 조금씩 알게된,
그것으로 인해 내가 배운 근대사가 많이 왜곡되어졌다는것도 알게된 사건이다.


내게 당사자들보다 더 절박하고 가슴아프게 와 닿지는 않겠지만 광주민주화 운동만큼이나,
어쩌면 그 이상으로 충격적인 더러운 정권의 민중학살과 민족간의 이간질, 왜곡된 사실전달로 인해
아직까지 재평가되지 못하고 있다.

 

여기서 그간 정리되지 못했던 제주 4.3항쟁의 발단에 대해 추가로 정리해봅니다.

내용은 모 커뮤니티에 올라온 내용을 정리해서 올립니다.(원본글 http://www.ddanzi.com/free/507287050)

너무도 길고 복잡한 4.3사건을 최대한 간결하게 요약해보면. 1947313.1운동 기념행사에 참석한 군중 사이에서 어린아이가 경찰의 말발굽에 채여 사망한다. 이에 항의하는 시민들을 오해한 경찰의 발포로 6명이 사망한다. 이는 동맹파업, 5.10선거 거부로 이어졌고, 이듬해 43일 남로당 300여명이 우익인사와 관공서를 습격하면서 유혈사태로까지 번진다.

당시 주둔하던 부대장은 그들과 협상을 시도했다. 잘 풀리는 듯 했지만 오라리 마을에 방화가 일어나면서 협상은 결렬됐다. 미군과 우리군은 부대장을 교체한 뒤 제주를 레드 아일랜드로 명명하고 서북청년회를 앞세워 초토화작전을 시작한다. 1948년부터 1954년까지 이 작전과 예비검속 등으로 3만여명의 민간인이 학살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망자는 당시 제주 인구의 10분의 1에 달했다.

 

시작과 전개, 그리고 끝... 의 간단정리 (이것은 다음 블로그 펌 http://blog.daum.net/rhyucw21/78)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주의의 패망으로 식민지 조선은 해방된 것이 아니라 미국이라는 또다른 제국주의의 점령하에 놓이게 되었다.

 

1945년 9월 8일 이 땅에 진주한 미 점령군 사령관 하지 중장은 "조선은 미국의 적이다. 따라서 점령군의 모든 활동은 적국에 실시하는 관례와 규칙에 따르라" 고 명령하였다. (미 점령군정 공식문서) 1945년 9월 8일부터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기 까지 만 3년간의 미국의 실질적 지배가 시작된 것이다.

 

이땅의 새로운 지배자로 등장한 미제와 그들의 주구인 이승만 도당과 서북 청년단(이하 서청),대동 청년단(이하 대청), 민족 청년단(이하 족청),독립촉성국민회(이하 국민회)등 악질적 우익단체들의 약탈과 부녀자들의 강간등 참을 수 없는 핍박에 제주 도민들은 분연히 일어났다.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를 기해 한라산 영봉과 도처의 오름(산)에서 봉화와 총성을 행동개시의 신호로 "미제는 즉시 물러가라" "매국적 5.10 단선.단정 절대 반대" "유엔 조선위원단은 철거하라" "미제의 주구들을 타도하자" "조선통일독립만세"를 주장하며 '4.3 제주민중항쟁'의 무장 투쟁이 시작 되었다.

이들 무장대는 행동개시와 함께 다음과 같은 호소문을 시민들에게 배포하였다.

 

시민 동포들에게 !

경애하는 부모형제들이여 !

4월 3일, 오늘은 당신의 아들, 딸, 동생은 무기를 들고 일어섰습니다. 매국 단선단정을 결사적으로 반대하고 조국의 통일 독립과 완전한 민족해방을 위하여 !

당신들의 고난과 불행을 강요하는 미제와 그 주구들의 학살 만행을 제거하기 위하여 !

오늘 당신들의 뼈에 사무친 원한을 풀기 위하여 ! 우리들은 무기를 들고 궐기하였습니다.

당신들은 종국의 승리를 위하여 싸우는 우리들을 보위하고 우리와 함께 조국과 인민이 부르는 길에 궐기하여야 하겠습니다 !

 

각 면 단위로 편성된 '인민자위대' '여맹원' ''아동단원' 등 무장. 비무장의 3,000여명의 애국적 제주도민은 관공서, 서청,국민회, 대청 등 악질적 우익단체들의 사무실과 이들을 비호하던 도내 15개 경찰지서 중 14개 지서를 기습. 점령. 방화하고, 그동안 부녀자들을 강간 하는등 제주 도민들을 약탈하고 살육하는 만행을 일삼던 서청과 대청 간부등 악질적 우익인사들의 가옥을 방화하고 그들을 생포하여 군중 재판에 회부하여 사살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제주 민중항쟁은 1949년 12월 유격대의 90%이상이 궤멸되었고, 200여명의 잔여 유격대는 한라산 깊숙히 숨어 들어가 간간히 빨지산 투쟁으로 그 명맥만을 겨우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1950년 6월 25일 6.25 전쟁 발발로 유격대의 조직이 남군 유격대와 북군 유격대로 다시 재건되어 적극적 활동을 재개하였다. 1956년 까지 활동을 보였던 유격대는 1957년 마지막 유격대원 오원권이 구좌면 송당리에서 생포됨으로서 위대한 제주도민의 민중항쟁의 그 비극적 끝을 맺었다.


4.3 제주 민주항쟁 기간의 총 인명피해는 정부 통계가 4만명, 1960년 국회의원 김성숙의 제주도 양민학살 건의안에서 밝힌것이

5만여명, 1963년 조사된 제주도 당국의 발표에서는 80,065명 이었다.

당시 제주도민의 인구가 26만여명이었음 감안할때 얼마나 많은 도민이 군경의 강압적이고 악랄한 진압 작전으로 희생되었는지 알 수 있다.

또다른 자료로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에 신고된 희생자의 가해별 통계는 토벌대 78.1%(10,955명),
무장대 12.6%(1,764명), 공란 9%(1,266명) 등으로 나타났다. 가해 표시를 하지 않은 공란을 제외해서
토벌대와 무장대와의 비율로만 산출하면 86.1%와 13.9%로 대비된다.
이 통계는 토벌대에 의해 80% 이상이 사망했다는 미군 보고서와 그 맥을 같이하고 있다. 특히 10세 이하 어린이(5.8%·814명)와
61세 이상 노인(6.1%·860명)이 전체 희생자의 11.9%를 차지하고 있고, 여성의 희생(21.3%·2,985명)이 컸다는 점에서
남녀노소 가리지 않은 과도한 진압작전이 전개됐음을 알 수 있다.

 

연좌제에 의한 피해도 극심하였다. 죄의 유무에 관계없이, 4·3사건 때 군경 토벌대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는 그 이유 하나만으로 희생자의 가족들은 연좌제에 의해 감시당하고 사회활동을 제약받았다. 제주공동체에 엄청난 상처를 주었던 4·3사건의 상흔들이 그 유족들에까지 대물림된 것이었다. 제주도민들과 유족들은 법적 근거도 없는 연좌제로 인하여 레드 콤플렉스에 시달렸다. 1981년 연좌제가 폐지되면서 그 굴레에서 벗어났지만, 유족들이 당하는 정신적 고통은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1948년 제노사이드(genocide:집단학살) 범죄의 방지와 처벌에 관한 국제협약에서, 제노사이드는 유엔의 정신과 목적에 위배되고, 문명세계에 의해서 단죄되어야 하는 국제법상 범죄임을 명시했다. 1949년 제네바 협정은 전시(戰時)에서도 민간인에 대해서 △고의적인 살인 △고문 등 비인간적 행위 △고의적인 괴롭힘이나 신체 상해 △군사적 목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는 대량 파괴와 약탈 등을 금하도록 규정했다. 더 나아가 모든 재판상의 보장을 부여하는 재판에 의하지 않은 판결 및 형의 집행을 인정할 수 없다고 명시했다.

그러나 1948년 제주섬에서는 이런 국제법이 요구하는, 문명사회의 기본원칙이 무시되었다. 특히 법을 지켜야 할 국가공권력이 법을 어기면서 민간인들을 살상하기도 했다. 토벌대가 재판절차 없이 비무장 민간인들을 살상한 점, 특히 어린이와 노인까지도 살해한 점은 중대한 인권유린이며 과오이다. 결론적으로 제주도는 냉전의 최대 희생지였다고 판단된다. 바로 이 점이 4·3사건의 진상규명을 50년 동안 억제해온 요인이 되기도 했다.


노무현정부때 첨으로 국가를 대신해 제주도민들에게 사과하구 특별법제정과 진상보고서작성등 작게나마 시작했는데
이번정부(MB정부)는 4.3의 진실을 지금까지 정확히 밝히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서, 정부는 4.3예산 전액을 삭감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이번MB정부에서는 더더욱 (다른것들도 그렇지만) 어둠속에 묻혀버린 느낌이다.

끝으로 참고하라고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의 사이트를 링크로 걸어둔다
http://www.jeju43.go.kr/index.php